부의 분배나 환경파괴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성장주의 경제는 위기를 넘어 재앙을 초래할 것이란 예측이 서서히 현실화 되고 있는 요즘이다.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생태계 파괴로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는 현상은 이를 대변해주고 있는 사례다. 이런 상황에서 소위 선진국들은 ‘그린 뉴딜’이나 ‘녹생성장’과 같은 캐치프레이즈를 내세우고 있지만, 그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 성장의 방점은 늘 ‘경제’에 있다.

 

이미지_ 자연자본주의, 폴 호큰 외, 김명남, 공존.jpg ◇자연자본주의, 폴 호켄 외/김명남, 공존

 

이러한 현실에서 자연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가치를 반영한 경제활동을 해 나갈 것을 주문하는 <자연자본주의>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 속에서 지속적인 경제 활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한다.

 

책은 200여 년이나 된 서구 산업 혁명에 뿌리를 둔 현재의 부 창출 모델은 앞으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본다. 미래에 성공할 세계적 기업들이 환경에 대한 책무를 다하면서 바로 그 활동으로부터 수익을 얻을 것임을 알려준다. 아울러 풍성한 실제 사례와 명료한 분석을 바탕으로 읽는 이에게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의 관행과 사고방식에서 탈피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이며 창의적인 생각과 행동에 동참할 것을 강권한다.

 

책은 파괴적이고 소모적인 현 산업자본주의와 대비되는 순환적이고 복원적인 자연 친화적 자본주의가 가능하다고 역설한다.

 

메인컷.jpg

 

이 책이 밝히는 ‘자연자본주의’의 원칙은 크게 네 가지로, ▲자원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것 ▲모든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을 닫음으로써 쓰레기(낭비)가 아예 생기지 않게 만들되, 그 모범을 생물계에서 찾을 것(생물모방) ▲재화의 제조와 소비에 집중하는 경제를 넘어 소비자들이 실제 원하는 서비스 자체를 공급하는 경제를 구축할 것 ▲자연 자본을 덜 파괴하는 것을 넘어 복원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 등이다. 여기서 ‘자연 자본’은 광물, 동물, 식물 등 모든 형태의 자연을 말한다. 중요한 것은 천연자원으로서의 가치만이 아닌 그 이상의 가치들을 모두 포함한다는 데 있다. 가령 숲의 깨끗한 물 공급 능력, 해안 식물상의 범람 저지 능력, 수분 매개 동물들의 꽃가루 중개 능력 등 온갖 생태계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책은 이 네 가지 원칙들로 현 기업 활동의 문제들을 치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환경 오염, 기후 변화의 위협, 공동체 해체와 같은 골칫거리들은 기업 활동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운명이 아니라 잘못된 관행에서 오는 부작용이라는 설명이다. 자연 자본을 귀한 투입 자본의 한 종류로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당사자가 아니라 사회 전체에 세금의 형태로 전가됐던 경제의 외부성들을 당사자의 장부에 올바로 기입한다면, 왜곡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견지에서다.

 

녹색지구 불편한 산업자본주의의 대안

21세기 녹색지구경제 설계도

 

주목할 것은 이런 방법을 통해 기업들도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이다. 자원 활용 효율이 높아지면 그 자체로 득이 된다는 이치와 함께 장기적으로 부메랑이 돼 돌아오기 쉬운 오염 처리 비용을 회피할 수 있다면 이 역시 비용을 절감하는 길이라고 책은 설명한다.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씌어졌다. 그 사이 자연자본주의의 개념들은 ‘지속가능 발전’ ‘지속가능 경영’ 등 다른 표현들로 널리 알려졌다. 이런 트렌드의 원조가 바로 ‘자연자본주의’인 것이다.

 

책은 지금도 세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며 정치를 비롯해 경제, 사회를 위시한 인류 문명 전체로 그 내용을 하나씩 실현시키고 있다. 특히 인간의 경제활동이 지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시선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