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각하는 우리문화의 현주소는 어떨까?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1186명을 대상으로 ‘잘못된 우리문화’에 대해 직장과 교육, 사회분야를 놓고 설문조사 했다.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1186명을 대상으로 ‘잘못된 우리문화’에 대해 직장과 교육, 사회분야를 놓고 설문조사 했다.
우선 직장문화에 있어서는 ‘업무시간 외 초과근무는 당연시 되는 문화’가 응답률 63.2%로 1위에 올랐다. 이어 △회식하면 죽어라 술을 먹어야 하는 문화(46.7%) △상사의 말이 곧 법이요 진리인 문화(40.7%) △여성이 할 일과 남성이 할 일이 따로 있다? 성차별 문화(11.6%) △한번 시작하면 끝날 줄 모르는 회의 문화(11.1) △기타(0.4%) 순이었다.
이와 함께 교육문화에 대해서도 질문했다. 결과 ‘명문대를 나와야 한다는 학벌 문화’가 응답률 58.2%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안 되는 문화(39.5%) △지속되는 학교폭력, 왕따 문제(29.5%) △교사폭행 등 추락하는 교권(27.9%) △급속히 오르는 대학 등록금 문제(21.1%) △기타(0.3%)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전반에 있어서 잘못된 우리문화에는 ‘진정한 노블리스오블리제가 부족한 도덕문화’라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5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말뿐인 육아휴직 맘 놓고 쓸 수 없는 출산문화(46.3%) △대기업만 선호하는 구직자의 높은 눈높이 문화(38.6%) △선거 시 누굴 뽑아도 똑같다는 정치인 불신문화(28.2%) △기타(0.4%)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회문화에 있어서는 남녀직장인 사이 차이를 보였다. 여성직장인의 경우 ‘말뿐인 육아휴직 맘 놓고 쓸 수 없는 출산문화’가 응답률 58.2%로 가장 높았던 반면, 남성 직장인의 경우 ‘진정한 노블리스오블리제가 부족한 도덕문화’라고 답한 응답자가 60.8%로 가장 많았다.
글 손정우 <함께하는 우리들의 세상이야기 ⓒ지데일리 gdaily4u@gmail.com>
이와 함께 교육문화에 대해서도 질문했다. 결과 ‘명문대를 나와야 한다는 학벌 문화’가 응답률 58.2%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안 되는 문화(39.5%) △지속되는 학교폭력, 왕따 문제(29.5%) △교사폭행 등 추락하는 교권(27.9%) △급속히 오르는 대학 등록금 문제(21.1%) △기타(0.3%)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전반에 있어서 잘못된 우리문화에는 ‘진정한 노블리스오블리제가 부족한 도덕문화’라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5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말뿐인 육아휴직 맘 놓고 쓸 수 없는 출산문화(46.3%) △대기업만 선호하는 구직자의 높은 눈높이 문화(38.6%) △선거 시 누굴 뽑아도 똑같다는 정치인 불신문화(28.2%) △기타(0.4%)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회문화에 있어서는 남녀직장인 사이 차이를 보였다. 여성직장인의 경우 ‘말뿐인 육아휴직 맘 놓고 쓸 수 없는 출산문화’가 응답률 58.2%로 가장 높았던 반면, 남성 직장인의 경우 ‘진정한 노블리스오블리제가 부족한 도덕문화’라고 답한 응답자가 60.8%로 가장 많았다.
글 손정우 <함께하는 우리들의 세상이야기 ⓒ지데일리 gdaily4u@gmail.com>
'비즈니스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성평등, '갈 길이 멀다' (0) | 2012.12.20 |
---|---|
'디지털' 하면 떠오르는 1등기업은? (0) | 2012.12.18 |
잘못된 우리문화 1위는? (0) | 2012.12.14 |
지역서점 육성 포럼 열려 (0) | 2012.12.14 |
‘정오의 북데이트’ 개최 (0) | 2012.11.23 |
“은퇴가 두렵습니다” (0) | 2012.11.23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