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삶이 준 축복을 되찾으려면…
    사회 2013. 7. 4. 11:15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청중 앞에 설 때마다 저는 과거라는 거울에 비춰볼 때만 우리 20세기의 정신 위상이 과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알아볼 수 있고, 나아가 대개는 오늘날의 관심사에서 밀려났지만 그런 결과를 낳은 논리적 공리를 깨달을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열한 개의 언어를 익혔으며 세 개의 학위를 갖고도 평생 떠돌이 학자를 고집한 사람. 몬시뇰이라는 명예로운 직책과 대학교 부총장이라는 높은 사회적 직함을 갖고 있으면서도 빈민과 기거를 같이하며 항상 행동하는 활동가이자 그저 역사학자로 불리기를 원했던 사람.

     

    한쪽에서는 그를 지나친 급진에 물든 공상가로 치부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그를 과거의 향수에 찌든 보수주의자쯤으로 간주한다. 한쪽에서는 좌파 지식인들을 겨냥한 지적 폭력을 가한다며 비난을 쏟아 붓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국적도 불분명한 정체불명의 인사로 규정하며 쇠사슬과 총격을 비롯한 갖은 박해를 시도했다.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이반 일리치 지음, 권루시안 옮김, 느림걸음 펴냄

     

     

    이반 일리치(Ivan Illich, 1926~2002)<가디언><르몽드> 등 저명한 잡지에서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지성으로 꼽힌다. 또 환경운동가와 아나키스트들, 해방신학 활동가들에게는 일종의 정신적 멘토이기도 했다. 언제나 전통을 소중히 여기며 자신이 전통에 기반을 둔 사람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던 그는, 우리 사회가 갖고 있던 고정관념을 강하게 공격했던 인물이다.

     

    일리치는 교육학과 역사학, 정치학, 언어학, 의학, 여성학, 종교학, 문학 등 어느 한 분야를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러나 그가 사유하는 방법은 명쾌하고도 단순한데, 바로 과거로 돌아가 성찰하자는 것이었다.

     

    일리치의 사유 방식과 마찬가지로 그가 내세우는 주장 역시 그만큼 명료하고 소박했다. “최선이 타락하면 최악이 된다.” 그는 이 한마디를 기준 삼아 우리 사회의 온갖 제도적 모순들을 거침없이 공격했다.

     

    그의 말처럼 인간에게 최선이던 것이 어느새 최악으로 타락하는 세상이다. 좋은 사회 혹은 좋은 국가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자는 구호가 점차 다른 것으로 변질돼 어느덧 우리 삶을 황폐하게 만드는 현상은 이제 도처에 널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의로 시작한 많은 일들이 제도화 되면서 선의 그 자체를 체제 속에 가둬 버린다.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병원이 어느덧 우리를 병원이 관리하는 체제 속에 가둬 구속한다. 선한 의도로 세운 학교가 어느새 우리 사회의 차별을 일으키는 수단으로 변질돼 버린다. 저개발국가에 대한 개발원조 역시 선의로 시작된 일이었지만, 어느덧 그곳 사람들에게 자본 사회에서 소외된 자의 무기력함을 일상화시킨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몇몇 현상을 제외하면 우리들 자신은 그것을 분명히 느끼고 또 지적하지 못하며, 심각한 성찰 역시 그저 피상적 비난에 그치고 만다. 우리들 자신이 이 겉만 선한것들에 깊이 물들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리치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그는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 범주, 사상들이 이미 너무나도 깊은 확실성으로 우리 안에 자리 잡았으므로 그것이 사실 부자연스럽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아채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런 부자연스러움을 발견해내기 위해 일리치가 택한 방법은 바로 과거로의 여행이었다. 지금 우리에게는 익숙하고 당연한 현대의 풍경. 이는 과거라는 거울에 비추어 보면 인류의 오래된 전통과 급격하게 단절된, 가장 낯설고도 가장 기이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일리치에게 있어 과거란, 떠올릴 때마다 다른 옷차림으로 나타나고, 지나칠 때마다 뭐가 새로운 것을 남기는 의미를 지녔다. 특정한 과거가 아니더라도 그저 현재와 충분히 떨어져 있어 두 시기의 차이를 분명히 발견할 수 있을 정도의 과거에 관심을 쏟았다.

     

    일리치는 그 중 자신이 특히 익숙한 12세기의 사회와 저술들로 돌아가 성찰을 시도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모습이 예전과 비교하면 얼마나 달라졌는지, 우리가 쓰는 용어들의 의미가 예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풀어냈다. 기관총, 핵무기, 개발 원조, 교육, 의료 등에 대한 일련의 풀이 과정은 우리가 알지 못했던 모순을 깨닫게 만드는 발판이 됐다.

     

    일리치는 이러한 사유를 통해 현대의 모든 삶의 분야를 인류 역사 전체 속에서 뿌리까지 파악하고자 했다. 그는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생각과 상식에는 역사적으로 그 뚜렷한 시작점이 있었고, 따라서 그 끝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었던 것은 바로 생각하는 법이었다. 개인의 의지와 생각을 삼켜버리는 현대의 진리상식’, ‘진보라 불리는 것들을 의심하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그의 유작인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역시 우리의 상상력을 옭아매고 있는 현실(세상)을 이해하고, 다른 삶의 방식에 대한 상상력과 희망을 열어주는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일리치가 여러 모임에서 강연을 위해 준비한 글이 담겨 있다.

     

    저는 수송 수단보다는 발로 걷거나 자전거를 타기, 공급주택에 대한 소유권을 차지하기보다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집에서 살아가기, 발코니에 토마토 심기,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없는 술집에서 사람들과 만나기, 각종 치료 요법 없이 고통을 겪어내기, 의료의 감시 하에 이루어지는 살해보다 죽는다는 자동사로 표현되는 행동을 택하기 등의 재발견을 일부러 축복과 은총이라고 말합니다.

     

    일리치가 평생 간절히 염원했던 것은 살아있는 인간과 삶의 축복에 대한 복원이었다. 그는 인간을 사물화, 도구화시키는 현대 문명에 맞서면서, 인간 개개인이 자신들의 삶을 지금, 이곳에서 온전히 불태우며 살기를 바랐다.

     

    일리치는 2002122일 세상을 떠났다. 살아있는 우리는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대에 가장 가난한 삶을, 가장 무력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마지막 순간까지 토론과 연구를 멈추지 않았던, 성장을 멈추고 공존공생의 사회를 부르짖었던 그의 일갈은 개발과 그를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오늘의 우리에게 큰 울림을 전해준다. 그의 사상은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손정우 기자 <함께하는 우리들의 세상이야기 지데일리>

     

    트위터 @gdaily4u 자료도움 gdaily4u@gmail.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