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생각이 달라 더 즐거운
    과학 2013. 1. 10. 18:22

    [사이언스 이즈 컬처]


    <지데일리> 현대 과학의 가속적인 발전은 그 어느 때보다도 우리의 문화와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과학의 가속도에 걸맞은 인문학의 질문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질문에 따라 인문과학, 자연과학, 예술의 통섭적 사고가 이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미적, 지적 지평을 새롭게 창의하며 인류의 삶의 양태를 변화시켜가고 있다.


    <사이언스 이즈 컬처>는 혁명의 첨단에 선 사람들의 생각을 모은 책으로, 5년에 걸쳐 예술가, 물리학자, 저술가, 디자이너, 건축가, 유전학자, 무용가, 소설가, 철학자 등 현대의 최고 지성 44인이 한자리에 모여 대화를 나눈다.


    미술가 친구가 한 사람 있는데 이 친구는 가끔 나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이야기를 합니다. 예를 들어 꽃을 집어들고는 이렇게 말하는 거죠. “얼마나 예쁜가 좀 보라고.” 물론 저도 동의합니다. 이어서 이 친구는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데 말이야, 미술가로서 나는 이 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 수 있어. 그런데 과학자인 자네는 꽃을 발기발기 찢어 지루한 물건으로 만들고 말지.” 저는 이 친구가 좀 돌았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그가 꽃을 아름답다고 느끼면 저나 다른 사람도 꽃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죠. 물론 제 미적 감각이 친구보다 덜 세련되었을지는 모르지만 말입니다. 어쨌든 저는 꽃의 아름다움을 즐길 능력이 있습니다. 동시에 저는 꽃에서 제 친구가 보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봅니다. 꽃 속의 세포를 상상할 수 있고 세포 속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상상할 수 있는데, 이것도 또한 아름답습니다. 꽃의 색은 곤충을 유인하여 수정을 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사실도 흥미롭습니다. 곤충이 색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니까 말이죠. 여기서 또 한 가지 의문이 나옵니다. 인간보다 더 낮은 생명체들에게도 이런 미적 감각이 있을까? 미적 감각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적으로 알면 알수록 꽃은 더욱 아름답고 신비로운 존재임과 동시에 경탄의 대상이 되고, 꽃을 바라보는 즐거움은 늘어만 갑니다. 이 즐거움이 어떻게 하면 줄어드는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사이언스 이즈 컬처, 노엄 촘스키 외, 이창희, 동아시아


    책에는 <통섭>의 저자 에드워드 윌슨을 비롯해 21세기 최고의 석학들이 함께한다. <빈 서판>의 스티븐 핑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의 ‘2012올해의 과학책’에 선정된 <과학의 천재들>의 작가인 물리학자 앨런 라이트먼, 앨 고어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받은 환경학자 스티븐 슈나이더,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패러디 뮤직비디오에서 ‘오빤 촘스키 스타일’로 국내에서 더욱 친근해진 언어철학자 노암 촘스키가 등장한다.


    또 프랙털 기하학의 아버지인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 영화 <콘택트>에서 조디 포스터가 맡은 역의 실제 주인공인 우주생물학자 질 타터, <심시티>와 <스포어>라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한 윌 라이터, 영화감독 미셸 공드리와 꿈 연구가 로버트 스틱골드 등, 이름만 들어도 화려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진화철학, 시간, 꿈, 전쟁과 기만, 자유의지, 프랙털 건축, 소셜 네트워크 등 지성과 문화에 대한 황홀하고 매혹적인 토론의 향연을 펼친다.


    책은 에드워드 윌슨과 <다윈의 위험한 생각>의 저자 대니얼 데넷의 대화로 시작한다. 윌슨은 과학자이고 데넷은 철학자다. 두 사람은 신, 진화, 근친상간, 사회적 규범, 개미에 대해 이야기 한다.


    두 사람이 항상 같은 생각만 하는 것은 아니다. 윌슨의 ‘통섭’에 대해 데넷은 견해를 달리한다고 분명히 말한다. 윌슨은 규범성과 사실의 탐색 사이에 선을 그었는데, 그곳은 엉뚱한 지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두 사람이 동의하는 지점이 있다. 바로 “의견이 갈라지지 않았다면, 둘 다 어떤 도그마에 빠진 것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대목이다.


    윌슨 선생님이 보시기에 철학, 특히 과학철학은 어느 쪽으로 가고 있습니까? 옛날에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이 “과학은 우리가 아는 것이고 철학은 우리가 모르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 말은 아직 유효한가요? 철학과 과학의 관계는 지금 어떻다고 보십니까?

    데넷 과학은 우리가 아는 것이고 철학은 우리가 모르는 것이라는 이야기 말씀입니다. 사실 저는 이 말에 동의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보기에 어떤 질문이 올바른 질문인지 아닌지 모를 때 하는 것이 철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소한 문제가 아닙니다. 온갖 당혹스러움과 논쟁을 정리하고 안개를 걷어내는 데 일조할 수 있다면 할 만한 일이죠. 철학의 역사는 흥미로운 실수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플라톤Platon,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칸트Immanuel Kant를 비롯하여 철학사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바보가 아니었습니다. 이들은 매우 총명한 사람들이었지만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저지른 실수들은 후대 철학자로 하여금 그것을 연구해보고 싶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러니까 철학을 제대로 하려면 철학사를 공부해야 합니다. 아니면 일부라도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철학사를 공부하지 않으면 같은 소리를 또 하게 되기 때문이죠. 선배들과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리라는 뜻입니다.


    물리학자 앨런 라이트먼과 무용수 리처드 콜턴은 ‘시간’에 대해 말한다. 다큐멘터리 <불편한 진실>의 제작자인 로리 데이비드는 앨 고어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받은 환경학자 스티븐 슈나이더와 함께 ‘기후의 정치학’에 대해 이야기 한다.


    언어철학자 노암 촘스키와 진화심리학자 로버트 트리버스, 영화감독 미셸 공드리와 꿈 연구가 로버트 스틱골드, <스타트랙의 물리학>의 저자인 로런스 크라우스와 생화학을 공부한 디자이너 나탈리 제레미젠코, 지난 2010년에 사망한 프랙털 기하학의 아버지인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와 건축 큐레이터인 파올라 안토넬리 등 등장인물의 분야는 다양하다.


    언론인 톰 울프와 <뇌로부터의 자유>를 쓴 인지신경학의 아버지 마이클 가자니가는 ‘자유의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이들의 대화에는 에드워드 윌슨과 대니얼 데넷이 등장한다. 또 사람이 왜 픽션에 끌리는지도 이야기 한다. 이 주제는 우주학자 재나 레빈과 소설가 조너선 레덤이 다룬 것이다.


    두 물리학자 풀 스타인하트와 피터 갤리슨은 빅뱅과는 다른 우주순환이론을 이야기하면서 철학과 형이상학의 경계를 탐구한다. ‘생물종 다양성’이라는 말을 만들어낸 열대생물학자 토머스 러브조이는 도시계획가인 미첼 조애킴과 함께 ‘스마트 인프라’라는 첨단 주제를 말하면서 도시농업이라는 답을 이끌어낸다.


    이 책에 등장하는 세계적 석학들은 총 22개 키워드의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하면서, 21세기의 과학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 대화를 통해 흥미롭게 살펴본다.


    글 한주연 <함께하는 우리들의 세상이야기 ⓒ지데일리 gdaily4u@gmail.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