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조선의 대문호, 창작의 영감은?
    문화 2013. 7. 26. 23:37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지데일리=손정우 기자> 조선 최고의 문장가인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 문장가로서 연암의 탁월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택당 이식, 계곡 장유, 상촌 신흠, 고산 윤선도 등 최고라 꼽을 만한 문장가는 많지만, 현재도 꾸준히 독자에게 사랑을 받는 문장가는 단연 연암이다.


    연암은 당대에 이미 문장가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이후에도 꾸준히 후배 문장가들의 흠모의 대상이었다. 특히 글쓰기에 대한 열망이 가득한 이에겐 글쓰기의 본보기가 될 만한 문학적 스승이나 선배가 있게 마련인데, 많은 이들이 연암을 그 대상으로 지목했다.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박수밀 지음, 돌베개 펴냄



    19세기의 문장가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 1786~1841)는 글쓰기의 모범으로서 연암을 평생 흠모했다. 홍길주는 어린 시절 연암의 처남 이재성(李在成)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생전에 연암을 한 번도 만나지 못했지만, 홍길주는 <연암집>을 처음 접하고서 마치 절경(絶景) 속으로 들어가는 황홀함을 체험했다. 이후 연암의 글은 홍길주 자신이 됐다.


    구한말의 문장가인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 1835~1922)은 우리나라 문장가들이 입만 열면 성명(性命)을 말하고 성리학을 베끼는 폐단을 보였지만 오직 연암만이 여기에서 벗어났다고 칭송했다. 역대로 수많은 학자들은 연암의 문장에 매료되었고 연암을 우리시대 최고의 문장가로 꼽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연암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지 않았다. 그의 <열하일기>는 세계 최고의 기행문으로 일컬어진다. 고전문학을 통틀어 그 작품에 대해 가장 많은 논문 편수를 보여주는 이를 꼽으라면 단연 연암이다.


    그렇다면 연암 박지원의 글은 어떤 이유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일까. 탁월한 문장과 번득이는 재치 등 여러 가지 수식어가 붙을 수 있겠지만, 여전히 그의 문장 자체에 대한 분석은 내놓기 힘들다.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은 이런 연암의 글쓰기 정신과 전략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사상과 문학의 근원을 헤아리고 있다.


    책에 따르면, 연암에게는 중세와 근대, 탈근대의 모습이 다양하게 섞여 있다. 연암은 ‘그때’의 구조 속에 구속돼 있으면서도 그 구조를 성찰하고 구조의 너머를 바라본다. 그는 모든 인간들이 ‘그때 저기’를 향해 갈 때 ‘지금 이곳’을 이야기하자고 한다. 지금 이곳이 과연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묻고 불합리한 세계와 치열하게 대결한다.


    지은이 박수밀은 연암 글쓰기의 본질이 창작의 영감을 자연사물로부터 받은 데 있다고 본다. 물론 자연사물에서 문학의 근원을 발견하려는 태도는 연암만의 생각은 아니다. 전통 성리학은 기본적으로 자연과 문학의 친연성(親緣性)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불교, 노장 사상에도 자연과 문학, 자연과 사회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전통 성리학자들이 바라보는 자연사물은 이미 실제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도(道)가 체현된 이상향일 뿐이다. 그런데 연암이 자연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은 남다른 데가 있다. 그는 자연사물의 원리를 들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와 불합리함을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연암은 자연에 대해서는 창조와 변화의 공간으로 생각하지만 인간과 사회는 모순되고 병들었다고 여긴다. 이에 사물의 생태로부터 얻은 깨달음을 인간사회를 고발하고 교정하는 데 활용하려 한다.


    연암 박지원 초상화.

    오늘날 생태에 대한 관심이 인간과 문명의 폭력성과 잔인함에 대한 반성으로 부각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연암의 자연 사물에 대한 접근 태도는 오늘날 생태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바가 있다.


    지은이는 연암 글쓰기의 주요한 특성을 ‘생태 글쓰기’라고 강조한다. 생태 글쓰기는 오늘날 도구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글쓰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고 생명을 살리는 언어의 회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그의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작품을 쓰기 전 태도나 습관이라는 점이다. 연암의 글을 최고의 문장으로 만든 본질은 쓰기 전 활동인 자연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하는 미적인 태도에 있었다. 그는 자연의 몸짓을 은밀하게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해 이를 글쓰기로 연결함으로써 진부하지 않은 독창적인 글을 썼다고 지은이는 강조한다.



    <함께하는 우리들의 세상이야기 ⓒ지데일리>

    트위터 @gdaily4u 자료도움 gdaily4u@gmail.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