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행복에 아주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바라는 것이 쌓이다 보면 갖지 못한 것을 가진 다른 이들을 끊임없이 부러워하게 되고, 결국 자신의 처지를 비하하게 된다.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순식간에 결코 행복해질 수 없는 상태로 자신을 이끌게 되는 것이다.


사진_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ㅣ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 지음ㅣ박규호 옮김ㅣ은행나무 펴냄.jpg 독일의 의사이자 코미디언인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이 쓴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는 행복에 대한 상식을 뒤집고 있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해 유쾌하고 에너지 넘치게 살아가는 법을 차근차근 알려준다.


지은이는 행복을 좇는 것이 아니라 행복이 스스로 찾아오게끔 하라고 조언하며, 행복을 ‘공동의 행복’ ‘우연의 행복’ ‘순간의 행복’ ‘자기극복의 행복’ ‘충만한 행복’으로 분류해 우리가 스스로 행복해질 수 있는 다양하고 기발한 방법에 대해 말한다.


과연 우리를 진짜로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지은이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심리학과 신경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로서의 지식과 경험을 들어 재밌고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중독이 되는 이유는 끊임없이 갈구하기 때문입니다. 도파민은 우리를 충동질하고 미치게 만듭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만족감과 행복을 약속하지만 절대로 온전히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진화의 설계에 따라, 우리는 행복을 갈구하지만 결코 지속적으로 그것을 느끼지는 못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습니다. 미칠 노릇이지요! 미국의 헌법에도 ‘행복추구권’이 보장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다시 말해서 행복을 탐색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찾아서 손에 넣는다는 보장은 없다는 겁니다. 탐색은 평생토록 계속됩니다. 그리고 어떤 지름길을 택할 때마다 목적지에서 점점 더 멀어집니다. 비극적이면서도 희극적이고, 비인간적이면서도 인간적이며, 우주 최대의 해학이자 심술이 아닐 수 없습니다.”:::



책은 특히 ‘행복 과잉’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책에 따르면, 누구나 생각하는 행복에 대한 조건들은 사실 우리를 진정으로 행복하게 만들어 주지 못한다. 젊은 시절 아름다운 외모는 오히려 그것을 잃게 되었을 때 절망감을 불러일으킨다. 상점이 늦은 밤까지 운영되면, 무조건 편리한 게 아니라 오히려 사람들이 물건을 고르느라 시간을 허비하게 만드는 것과 같이. 또 청소년기는 우리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기가 아니며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 같은 격정적인 사랑은 우리를 곤란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렇듯 사람들이 갖는 행복에 대한 관념은 지은이의 의학적 지식과 실험결과에 의해 조목조목 뒤집힌다. 그러나 행복에 대해 아주 달리 생각할 것을 강요하지 않는다. 단지 행복을 갈구하는 우리의 태도를 조급해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변모시킨다. 이처럼 지은이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을 유머가 섞인 이야기로 만들어 특별한 행복론으로 안내한다.


지은이는 완벽한 고요와 대자연, 음악의 선율 등을 최고의 행복으로 여긴다. 명상이나 자연이 가져다 줄 수 있는 평온을 가장 좋은 행복으로 보는 것이다. 지은이는 마음의 평온과 더불어 자신의 본성과 가장 맞는 곳에서 (이 책의 마스코트인) 펭귄처럼 자유롭게 헤엄치기를 권한다.


지은이는 “마음이 건강한 사람은 행복하며 행복한 사람은 몸도 건강하다”고 말하며 어른들의 마음 건강을 돕는, 읽을수록 행복해지는 길로 안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