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인간의 후천적인 의지나 노력에 의해 주어지는 걸까?


사진_알랭의 행복론ㅣ알랭 지음ㅣ이화승 옮김ㅣ빅북 펴냄.jpg 최근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섭식 장애 등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나아가 문제 학생들, 폭행, 살인과 자살 소식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뇌화학 물질중 하나인, 행복 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진 세로토닌(serotonin, 5-HT)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영국 에든버러 대학 알렉산더 웨이스(Alexander Weis)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의 50%는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웨이스 박사는 유전자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와 유전자가 다른 이란성 쌍둥이 900쌍을 대상으로 5가지 성격요인인 모델을 이용해 성격과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유전자가 행복과 관련된 성격적 특징에 절반의 영향을 끼친다고 밝혔다.


분자생물학, 유전학, 후생유전학의 최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베어드(James D. Baird)와 나델(Laurie Nadel) 박사에 의해 출판된 <행복 유전자(Happiness Genes)>는 과학과 영성이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사실을 입증하면서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났다고 강조한다.


에픽테투스에 의하면 사물들 중에는 우리 힘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있고, 할 수 없는 것도 있다고 한다. 우리를 위해 삶의 주사위가 어떻게 던져질지 하는 것은 우리의 소관사항이 아니다. 우리가 조종할 수 있는 것은 일단 주사위가 던져졌으면 그 결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것뿐이다.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으면 행복해진다”고 주창한 바 있다. 웃음은 최고의 보약이라고 하며, 피조물 가운데 인간만이 기쁠 때 웃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웃음이 건강에 효과가 있다는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많이 웃으면 몸속의 650개의 신체근육 가운데 300개 가까이가 움직이며, 웃음은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행복 호르몬을 분비시킨 다는 것이다.

 

2005년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진은 혈관 연관성을 파헤쳤는데, 연구진이 피실험자에게 코미디 영화를 보여준 뒤 혈류량을 측정하자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류량이 늘면 심혈관이 튼튼해진 반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영화를 본 피실험자는 혈류량이 35% 가량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한다.


알랭이라는 프랑스 고교 철학교사가 신문에 연재한 고정칼럼을 책으로 엮은 <알랭의 행복론>은 문학과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행복에 관한 단상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