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항상 먼저 양보한다면? 회의 시간에 아이디어가 떠올라도 주저하면서 얘기를 못한다면? 친구가 싫은 소리를 해도 그때는 그만두라는 말을 못하고 집에 돌아와 혼자서 고민한다면?
연애에서 직장, 학교, 그리고 가정에서조차 우리들은 타인의 말과 행동에 상처받고 혼자 울곤 한다. 그 눈물 뒤에는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숨어 있다. 심지어는 사적인 관계에서도 경쟁을 부축이고 순위 매기기를 강요하는 현대 사회에서 마음의 병으로 아파하는 사람들이 느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 돼 버렸다.
:::어렸을 때 아이들에게 왕따 당한 적이 있는 당신을 혼자 남겨두고 직장 동료들이 자기들끼리만 점심을 먹으러 갔다고 해보자. 당신의 순진무구한 자아는 즉시 그들이 고의로 자신을 왕따 시키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며, 한 발 더 나아가 스스로가 무가치한 존재라고 결론 내릴 것이다. 그래서 당신은 점심시간이 되면 누구에게도 묻지 않고 제일 먼저 밖으로 나가 혼자 점심을 먹는다. 그 누구도 자신을 먼저 왕따 시키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직장 동료와의 관계를 ‘순위 매기기’ 관점에서 보는 이 반응은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랑’과 ‘호감’이라는 주제를 전면적으로 다뤄온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 일레인 N. 아론은 20년 동안의 심리 상담을 통해 우울증과 수치심, 질투, 열등감, 불안 등 다양한 문제 속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프레임이 있다는 사실을 포착했다. 우리의 내면 깊숙이 숨어 있는 그것은 스스로가 가치 없다고 느끼는 또 다른 ‘자신’, 즉 ‘못난 나(Undervalued Self)’라는 심리 기제다. 이 ‘못난 나’가 바로 우리의 사랑받을 권리를 방해하고 있다.
‘못난 나’는 쉽게 말해 실제보다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 또 다른 ‘나’는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모든 것을 자기 탓으로 여기고, 낯선 사람과 만났을 때 지나치게 수줍어하며, 가장 가까운 친구에게도 질투를 느끼게 한다.
누군가가 사랑한다고 고백했을 때 ‘왜 하필 나야?’라는 질문을 떠올리며 도망간 사례가 있다면, 이 역시 ‘못난 나’가 자신의 가치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도록 방해해 시작하기도 전에 실패할 것이라 생각하게 하고 자신감 없게 만든 결과다.
겉으로 자신만만해 보이는 사람들도 내면을 들여다보면 역시 ‘못난 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과도하게 능력을 과시하는 사람, 매사에 경쟁심을 보이는 사람이라면, 내면의 ‘못난 나’를 숨기기 위한 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것인지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이 개념은 ‘낮은 자존감’이라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낮은 자존감’은 많은 심리학자들이 주목했으나,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이다. 그런데 일레인 아론은 이 ‘낮은 자존감’의 문제를 ‘못난 나’라는 프레임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한다.
우리는 일상에서 타인에게 인정받으려고 노력하면서, 왜 스스로는 자신을 하찮게 여기는 걸까? 일레인 아론은 자신의 책 ≪사랑받을 권리≫를 통해 ‘못난 나’는 이를 ‘순위 매기기(Power)’와 ‘관계 맺기(Love)’라는 두 가지 프레임에서 발생한다고 말한다.
:::퇴근한 후에는 운동을 하러 헬스클럽에 간다. 그곳에 가득한 건강하고 몸매가 멋진 사람들을 보자니 잔뜩 기가 죽는다. 당신이 헬스클럽 안에서 제일 못난 사람인 것만 같다. 이런 경우는 100퍼센트 순위 매기기라 할 수 있다. 당신은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한 것이다.:::
원래 ‘순위 매기기’와 ‘관계 맺기’는 1983년 정치심리학자 리안 아이슬러와 데이비드 로이가 사용하면서 처음 등장한 용어다. 이 두 가지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지배하는 주된 요인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두 개념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된 바는 거의 없었다. 일레인 아론 역시 두 주제를 따로 떼놓고 생각했으나, 내담자들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 이 둘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를 깨닫게 됐다. 즉, 많은 사람들이 서로 사랑을 주고받는 ‘관계 맺기’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는 늘 권력과 우열의 문제 즉 ‘순위 매기기’에 치중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은이는 “만약 최고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거절하는 것이 힘들다거나, 타인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게 자신이 부족한 탓이라고 여기거나, 상대의 사소한 말도 나를 비난하는 말이라 생각된다면 자기 안의 또 다른 나를 들여다 봐야한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스스로도 몰랐던 ‘못난 나’의 발견을 통해 내면으로부터 나를 변화시키는 동시에 어떠한 자극에도 흔들림 없는 사람으로 거듭나 당당하고 아름답게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0) 2010.08.29 중국과 미국의 헤게모니 전쟁 (0) 2010.08.29 잡식동물 분투기 (0) 2010.08.29 음식, 도시의 운명을 가르다 (0) 2010.08.23 자동차 바이러스 (0) 201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