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8년 월스트리트의 대형 헤지 펀드인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TCM)가 파산했다. 러시아 정부의 모라토리엄 선언으로 45억 달러라는 손실을 입고 유동성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위기가 금융 시스템 전체로 확산되자 미국 연방준비은행(FRB)까지 나서 금융 기관들로 하여금 구제 금융을 제공하도록 했다.

LTCM의 파산이 더욱 화제가 된 것은 이 펀드의 경영에 유명 경제학자 마이런 숄스와 로버트 머튼이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금융 파생상품인 옵션의 가격 결정 공식을 내놓은 공로로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이들이었기에 “금융계의 드림팀이 운영하는 펀드”라는 명성을 얻어 온 터였다. 그런데 그 펀드가 거액의 손실을 떠안은 채 파산을 한 것이다. 이는 내로라하는 유명 경제학자가 투자에 실패한 대표적인 사례로 아직도 경제계에서 언급되고 있다.

 

*투자자를 위한 경제학은 따로 있다, 마카베 아키오, 김정환, 부키

평생을 경제학 이론을 파고든 학자도, 재무 설계 교육을 받거나 MBA를 마친 고학력 펀드 매니저도 투자에 실패한다. 이를 단지 개인의 능력 부족이나 실수로 봐야 할까. 혹시 이들이 가진 투자 지식의 토대가 된 경제학 이론 자체에 한계가 있는 것은 아닐까.

일련의 거품과 그에 따른 금융 위기를 겪으며 막심한 손해를 본 투자자들이라면 현재 시세가 거품인지 어떻게 아는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투자자들은 손실이 나는 상태인데도 본전 생각으로 투자 포지션을 유지한다든지, 판단을 못 내리고 있다가 다들 ‘손을 터는’ 분위기라 덩달아 빠져나온다든지, 본인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결정적인 순간에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쉽다.

또한 자기 나름으로는 합리적이라고 생각해 결정한 것들도 돌아보면 직감이나 인상으로 판단한 것이거나 자기중심적인 선입견과 확률에 속아 결정한 것들일 경우가 많다. 여기에 더해, 알게 모르게 자존심이나 체면을 의식해 의사를 결정하기도 한다.

<투자자를 위한 경제학은 따로 있다>는 이처럼 투자자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나 오류, 확률을 계산하거나 가치를 평가할 때 적용하기 쉬운 주관적인 잣대들을 검토하고 있다.

메이도프 사건에서는 경영자인 메이도프의 사회적 지위가 투자자들로 하여금 안심할 수 있게 했다. ‘전 나스닥증권거래소 회장’, 즉 “사회적으로 실적이 있으며 시장에 정통한 유능한 인물”이라는 관념이 초두 효과로 작용해 사람들의 심리 속에 파고든 것이다. 메이도프의 펀드에서 흥미로운 점은, 투자자들에게 명확한 재무 내용을 개시하지 않는 등 그 내용을 의문시하는 목소리가 처음부터 있었음에도 대형 금융 기관이 너무나 쉽게 속아 넘어갔다는 사실이다. 달성하기 힘든 높은 수익을 오랫동안 기록해 왔다는 홍보를 듣고 투자해도 안전하다는 인식이 강해졌을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군집 현상이 되어 투자자들 사이에 확산되었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촉발된 2008년 미국발 금융 위기가 세계적인 불황을 몰고 오자 신자유주의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분석이 쏟아졌다. 그런데 이러한 시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기는 했지만, 그러한 금융 위기를 전통 경제학 이론의 한계가 드러난 사례로 규정하는 시각도 있었다. 그러한 시각을 내놓은 곳 중 하나가 바로 행동경제학 분야다.

전통적인 경제학은 “인간은 합리적이며 시장은 효율적이다”라는 전제를 토대로 세워진 이론이다. 이러한 전제대로라면 자산 가격이 그 본원적인 가치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변동하는 일이나 거품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없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거품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10년 사이만 봐도 IT 거품, 부동산 거품, 원자재 거품 등이 발생해 세계적인 금융 위기로 확산됐다.

이처럼 경제가 경제학 이론이나 금융공학이 상정하는 대로 움직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책 당국자부터 기업, 소비자, 펀드 매니저, 투자자 등 시장에 참여하는 이들이 항상 합리적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완벽한 인간도 아니기 때문이다. 금융 시장의 참여자들이 철저한 합리성과 엄밀한 계산에만 의거해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한 전통 경제학 이론과 실제 현실 사이의 이 같은 간극은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다.

사람은 부조화가 발생하면 자기 부정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그 원인이 된 개별적인 인지 내용을 조작한다. 자신의 생각이나 이미 내린 판단이 옳았다고 생각하기 위해 궤변을 늘어놓아 자신의 마음을 속이는 것이다.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점심에 초밥과 튀김 중 어느 쪽을 먹을까 고민하다가 튀김을 선택하는 경우가 아주 적당한 사례일 듯하다. 이 경우에는 이미 “튀김을 선택한다”라는 의사 결정을 했으므로 그 결정에 부정적인 정보나 인지는 마음속에서 불쾌감(즉 심리적 갈등, 부조화)을 일으킨다. 이 부조화를 회피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내린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요소나 정보를 찾는다. 예를 들어 선택하지 않은 것에 관한 긍정적인 정보를 부정적인 것으로 바꾸고는 한다. “초밥은 신선하고 맛있어.”라는 요소는 “생선 특유의 비린내가 날지도 몰라.”라는 표현으로 치환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인지 내용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자기 자신의 생각과 대립하는 정보를 무시할 수도 있다.

행동경제학이 탄생하기까지의 경제학의 흐름부터, 행동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금융 현장의 실무 사례, 응용 범위를 쉽고 간결하게 알려주는 이 책은 특히 금융 자산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을 다루는 행동 재무(behavioral finance, 행동금융학)와 통제의 환상, 인지 부조화 등 투자자들의 심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을 더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