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사회 2010. 12. 6. 23:46기독교를 큰 줄기로 삼아 유교, 불교, 노장 사상 등 동서고금의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어 독창적인 종교 철학의 체계를 세운 대사상가 다석(多夕) 류영모. 그는 성경 자체를 진리로 떠받들며 예수를 절대시하는 생각에서 벗어나 예수, 석가, 공자, 노자 등 여러 성인을 두루 좋아했다.
다석이 YMCA 연경반 등에서 행한 고전 강의에는 당대의 수많은 지식인들이 열정적으로 참여해 스승의 가르침을 받았다. 다석의 강의는 유교와 불교와 기독교를 하나로 모아 세움으로써 사상의 일대 장관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독창적인 언어로 대자유의 세계를 구현한 다석의 사상은 한국 지식계에 저류와도 같은 영향을 끼쳤다.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에는 공자의 유교 사상뿐만 아니라 불교, 기독교, 노장 사상을 포함한 종교 사상 전반에 대한 다석의 고유한 해석이 담겨 있다. 예수와 석가와 공자가 한자리에 모여 앉은 듯, <중용>을 주제로 삼아 동서가 회통하는 ‘말씀의 향연’이 펼쳐진다. 다석의 해석을 통해 공자는 하느님의 아들로 나타나며, <중용>은 하느님의 말씀으로 드러난다. 동서 사상을 두루 꿰뚫어 한 차원 높은 곳에서 종합한 대각(大覺)의 정신만이 보여줄 수 있는 깨달음의 경지가 독특하고 생생한 언어로 표현된다.
동서고금의 많은 사상과 철학에 달통했던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매일 기록한 <다석일지> 외에 다른 저서를 남기지 않았다. 현재 다석의 사상이 담긴 책들은 다석이 직접 쓴 것이 아니라 그의 제자들이 다석의 가르침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적은 기록이거나 해설서다. 그는 책을 통해 독창적 유교 해석을 이야기한다.
다석은 공자의 말씀이 담긴 <중용>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읽는다. 다석은 하느님의 말씀으로 사는 것이 곧 ‘중용’이라 한다. 우리가 받은 본바탈(性)로 하느님 뜻을 실천하는 삶이 바로 중용인 것이다.
다석은 제나의 감정인 희로애락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즉 제나 너머의 얼나를 <중용>의 중(中)이라고 본다. 제나의 감정이 일어나도 얼나의 절제를 받으면 인격이 부드러워(和)진다는 것이다. 중(中)은 이 우주의 근본인 하느님이고 부드러운 이는 세상에 하느님이 계심을 증거하는 하느님 아들이다. 이는 곧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가 중용의 뜻이다. 예수가 가르쳐준 “(하느님)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마태오 6:10)가 바로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와 같은 뜻이다. 이것을 더 줄이면 석가의 사성제 ‘고집멸도(苦集滅道)’가 된다.
다석은 예수와 붓다를 모두 어리석은 욕망과 동물적 본능에 사로잡힌 ‘제나’를 벗어버리고 ‘얼나’로 거듭난 하느님의 아들로 봤다. 그렇다면 예수, 석가와 함께 4대 성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자는 어떤 사람일까? 다석은 공자도 예수, 석가처럼 얼나로 솟난 하느님 아들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본다. 공자의 말씀과 몸가짐에서는 짐승의 냄새가 안 나고 진․선․미의 거룩한 향내가 난다.
그 사람의 말을 알면 그 사람을 알게 된다. 공자는 사람으로서 꼭 들어야 할 말을 들으면 죽어도 좋다는 것이다(《논어》, 이인 편). 말을 알자는 인생이고 말을 듣고 끝내자는 인생이다. 한 사람의 총결산은 그 사람이 한 말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마지막 날에 너희들이 한 말이 너희를 판단한다고 했다. 그 말이란 우리 입으로 늘 쓰는 여느 말이다. 그 사람이 쓰는 여느 말이 그 사람을 판단하는 데 왼통이 된다.
다석은 평생 예수를 스승으로 섬겼으나 성경을 절대시하는 생각에서 벗어나 인류 역사에 등장한 모든 성인들을 두루 좋아했다. 그는 성경과 함께 동서고금의 다양한 사상과 종교를 공부하고 일상에서 성인의 삶을 실천한 끝에 근본적인 깨달음을 얻었다. 이는 바로 “생사(生死)와 애증(愛憎), 욕망의 노예인 ‘제나(自我, ego)’에서 벗어나 진정한 ‘나’인 ‘얼나’로 솟나야(부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바로 이것이 예수와 공자, 노자, 붓다가 인류에게 가르쳐주려 한 것이었음을 이야기한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안은 살아 있다> (0) 2010.12.14 <아프리카의 눈물> (2) 2010.12.08 이제 '좋은 마음'을 실천할 시간 (0) 2010.12.06 <불안증폭사회> (0) 2010.12.02 <미래와 세상> (0) 2010.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