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소셜미디어마케팅,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경제 2010. 6. 15. 18:26
소셜미디어, 마케팅 중심에 ‘우뚝’ 최근 들어 유명 인사들의 소셜미디어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모두 자신의 이미지 제고와 확산,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 소셜미디어를 적극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마케팅은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매스미디어 즉, 텔레비전과 신문, 라디오, 잡지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들 매체는 정보의 수신과 발신에서 쌍방향성을 이루던 미디어가 아니다. 보급률은 100%에 가깝지만, 텔레비전에 출연하거나 신문에 나오거나 정보를 제공한 적이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그만큼 사용자의 참여가 지극히 제한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웹 2.0시대에서는 기존 매스미디어 마케팅에서 나아가 트위터와 블로그, SNS, UCC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소셜미디어마케팅으로 급변하고 있다..
-
소통의 힘경제 2010. 6. 15. 12:06
피보다 진한 휴머니즘 1930년 가을, 뉴욕 주식 시장이 갑자기 곤두박질쳤다. 더불어 부동산 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담보를 잡고 돈을 빌려 준 은행들은 부동산 자산 가치의 하락으로 하나둘씩 무너졌다. 전국의 모든 은행 중에서 절반 이상이 문을 닫았다. 자동차·가구·옷 등을 생산하던 공장들도 생산 라인을 멈춰야 했다. 전체 국민의 네 명 중 한 명이 실업자가 돼 집세를 못 내거나 생필품조차 조달하지 못했다. 미국 역사상 최악의 경제 위기가 시작된 것이다. 당시 최대 1600만 명이 일자리를 잃고 방황했으며, 집과 농장과 일자리를 잃은 수많은 사람들은 급기야 거리로 내몰렸다. 이렇게 온 나라가 절망과 불안, 패배와 두려움으로 덮여 있을 때 희망과 용기를 통해 반드시 승리한다는 확신과 낙관주의를 가지고 나타난 ..
-
절박할 때 시작하는 돈관리 비법경제 2010. 6. 8. 11:27
돈관리 우선은 ‘군살 빼기’ 현대 사회에서 돈관리에 대한 인식은 잘못된 속설들로 만연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극히 기본적이고 상식적인 원칙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실천’을 미루면서 돈을 쫒는데 허덕이고 있다. ≪절박할 때 시작하는 돈관리 비법≫은 돈관리에 대한 일반의 상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너무나 상식적인 돈관리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지은이 데이브 램지는 이를 ‘다이어트’에 비유한다. 식습관을 개선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야 살이 빠진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제로 다이어트에 성공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돈 문제에서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항상 ‘실천’에 약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뱀을 가지고 놀면 언젠가는 물리게 된다” :::펄펄 끓는 물에 바로 개구리..
-
상식파괴자경제 2010. 6. 7. 16:31
‘앞서거니 뒤서거니’ 상식파괴에 달렸다 세상을 이끄는 사람들은 변화의 선두에 선 사람들이다. 그들은 변화의 선두에 서기 위해 상식처럼 받아들이는 모든 것 파괴하고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는데 집중했다. 컨설팅업체 스트래티고스 최고경영자인 피터 스카르진스키(Peter Skarzynski)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지적했다. 삼성과 LG가 뛰어난 기업이긴 하나, 결국 2등일 뿐이라는 것. 그러면서 그는 “한국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승자가 되려면 ‘혁신자(innovator)’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기업인 하이얼 등이 빠르게 따라오기 때문에 한국 기업이 ‘시장 추종자’에서 ‘혁신자’로 변모해 새로운 장을 개척해야만 진정한 승자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스카르진스키는..
-
한국의 개미들을 위한 워런 버핏 따라하기경제 2010. 6. 7. 15:16
가치투자, 한국에선 ‘요렇게~’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 그는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산 없이 오로지 주식투자를 통해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됐다. 주식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 중에서도 그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는 ‘주식투자만으로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된 경이로운 존재’로 일반에게 인식돼 있다. ≪한국의 개미들을 위한 워런 버핏 따라하기≫는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롤 모델로 삼고 싶어 하는 워런 버핏의 가치투자를 한국의 투자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는 투자 지침을 담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주식투자는 크게 가치투자와 모멘텀 투자로 나뉜다. 가치투자는 주가가 기업의 가치보다 하락할 때 매수해 주가가 가치만큼 상승하면 매도하는 방법이다. 모멘텀 투자는 주가가 항상 주식의 가치를 반..
-
구글노믹스경제 2010. 6. 7. 11:10
‘구글’ 경제를 새롭게 정의하다 아이폰과 트위터 열풍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소셜네트워크(SN)에 대한 일반과 기업의 관심이 뜨겁다. 기업의 경우 소셜네트워크 마케팅을 활발히 펼치면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델컴퓨터는 수십 개의 트위터를 비롯해 다수의 블로그와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다. 델은지난달 미국의 CNBC가 발표한 ‘트위터 잘하는 기업 톱10’에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델이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모습이었던 것은 아니다. 지금은 SNS 마케팅의 귀감이 되고 있지만, 사실 과거에는 소비자에게 귀를 닫은 기업이었다. 델의 AS에 불만을 느낀 블로거 제프 자비스는 ‘델은 형편없다(Dell sucks)’는 글을 올리면서 사회에 반향을 일으켰다. 델에 대..
-
마켓 3.0경제 2010. 5. 31. 18:40
‘가치 중심’ 시장의 도래 지데일리 http://gdaily.kr/2393 “‘3.0 시장’을 선도하고 만들어가며 리드하는 기업들의 특징은 사람들의 극단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는다는 것이다. 앞으로 시장에서는 바로 이런 철학을 가진 자만이 생존할 수 있다.” 애플의 승승장구엔 무슨 이유가 있을까? GE가 대형 가전업체라는 고정적인 이미지를 벗고 과감한 행보를 할 수 있는 까닭은? 아이디오는 기존의 내로라하는 디자인 회사들을 물리치고 어떻게 세계 최강의 회사가 됐을까? 이들 기업은 승자독식의 패러다임이 아니라 함께 창조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커뮤니티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시장, 즉 ‘3.0 시장’의 특징을 가장 잘 읽고 있다. 사람들의 영혼까지 사로잡는 법을 누구보다 잘 안다. 이들은 압도적인 기술을 통해 남..
-
화폐전쟁 2경제 2010. 5. 24. 19:27
역사 배후의 금권을 파헤친다 지데일리 http://gdaily.kr/2362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1·2차 세계대전, 이스라엘 건국, 전후 독일의 하이퍼인플레이션, 히틀러의 집권, 영국정보국·OSS·모사드·CIA의 탄생과 성장 등 전 세계 전쟁, 공황, 혁명의 배후에는 국제 금융가문들이 있었다. 는 그림자를 드리운 국제 금융가문들의 첨예한 이전투구와 미래 전략을 방대한 사료와 냉철한 논리로 논증하고 있다. 특히 지난 300년간 세계를 지배해온 유럽과 미국의 17개 주요 금융 가문의 형성 및 발전, 합종연횡의 과정을 철저하게 추적한다. 아울러 달러의 몰락이 어떻게 대공황과 미국의 파산·면책, 세계단일화폐로 이어질 것인지 상세한 미래의... [전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