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Total)
-
<아파트 쇼크>사회 2011. 1. 31. 15:35
성공신화는 끝났다! 지데일리 http://gdaily.kr/14257 많은 사람들이 언제까지 아파트에 매달려야 할까. 왜 아파트에 목숨 건 인생을 살려고 할까. 우리나라 특성상 아파트 매입에 들어간 돈이 전 재산인 사람이 상당수다. 하지만 잘못될 경우 이는 한 가정의 파산이요, 해체로 가는 수순이 될 수 있다. 우리 옛말에 ‘땅거지’라는 말이 있다. 소중한 재산인 땅을 광범위하게 갖고 있지만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은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일컬어 하던 말이다. 그러나 ‘땅거지’라는 말은 한동안 우리 주변에서 사라졌다. 그 이유가 뭘까? 무엇보다 부동산의 가장 큰 약점이라고 할 수 있는 환금성이 대폭 향상된 것이 그 이유다. 여기에 부동산은 가장 믿을 수 있는 재산으로 간주되어 마음만 먹는다면 은행..
-
<크리에이티노베이션>경제 2011. 1. 31. 10:11
뉴노멀시대, 지속성장의 전략은? [지데일리] http://gdaily.kr/14223 금융위기가 발생한 후 2년여 만에 글로벌 경제지도는 지난 수십 년간의 변화상을 압축한 것처럼 드라마틱하게 변했다. 대변혁의 시기이니 만큼 불확실성도 크다. 특히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경제의 현주소와 미래전망을 놓고 진단이나 처방이 다르다는 평이 나온다. 한쪽에서는 글로벌 경기회복을 낙관하고 있지만, 또 다른 쪽에서는 여전히 더블딥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더 과감한 경기부양책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국가부도 위기를 방지하려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재정건전성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외침도 들린다. 일각에선 디플레이션을 경고하고 다른 곳에서는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아시아 경제..
-
<플랫폼 전략>경제 2011. 1. 30. 19:09
플랫폼이 만드는 기회의 시대 [지데일리] http://gdaily.kr/14208 애플, 구글, 아마존, 트위터, 페이스북와 같이 세상을 뒤흔들며 세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이들 모두 플랫폼을 기반으로 성장한 기업이며, 자신만의 독특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일찍이 일본 출신의 세계적인 경제학자 오마에 겐이치는 “21세기의 부는 플랫폼에서 나온다”라고 말하면서 플랫폼의 중요성을 강조한바 있다. 플랫폼의 등장은 기업에게 기회이자 위협이 될 수 있다. 애플, 구글, 아마존 같은 기업은 플랫폼 구축에 성공해 기업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반면, 음반업계와 제조업체, 판매업체 등은 각각 아마존, 애플, 구글의 플랫폼 내에서 새로운 생존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 ..
-
<무조건 행복할 것>사회 2011. 1. 29. 10:15
“나는 더 행복해졌다” [지데일리] http://gdaily.kr/14176 부유층 거주지인 뉴욕 어퍼 이스트 사이드에 살고 있는 변호사이자 작가인 그레첸 루빈. 정의를 위해 일하던 과거를 자랑스러워하고, 뭐든 논리적인 걸 좋아하는 그런 그가 어느 비오는 날 오후, 치약을 사러 가던 길에 한 여자를 발견한다. 한 손으로는 유모차를 밀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휴대폰 문자를 확인하고, 우산의 균형을 잡으려고 애쓰며 걸어가는 여자. ‘저게 바로 나야!’ 창밖의 여자는 마치 자신과 같았다.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춘 듯 보이지만 위태롭고, 무엇 하나 놓치지 않으려고 애를 쓰며 종종걸음 치는 그 여자. 당시에 루빈은 우울증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매사가 불만족스러웠고, 심지어 다른 사람을 의심하는 상태까지 이르렀다. 그..
-
<티베트 1만년의 이야기>문화 2011. 1. 29. 10:10
‘천의 얼굴’에 빠져들다 [지데일리] http://gdaily.kr/14165 신비의 땅 티베트의 역사는 티베트인의 기원부터 오늘날까지 약 1만여 년에 달한다. 그중 기록이 남아 있는 역사는 약 1400여 년으로, 그동안 영광과 번영, 쇠퇴와 굴욕의 시간이 반복됐다. 또 사회 전반에 종교가 영향을 미쳐 종교와 정치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시기도 있었다. 는 100폭의 아름다운 탱화를 통해 티베트 민족의 기원과 발전, 불교의 전래와 흥성, 티베트 민족과 중국 각 민족과의 불가분의 관계 등을 소개한다. 독특한 양식 중 하나인 탱화에 묘사된 여러 고사를 통해 간결하면서도 재미있게 티베트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내용을 먼저 기술하고 그러한 사건과 인물을 묘사하는 탱화를 배치..
-
<월급의 비밀>카테고리 없음 2011. 1. 29. 09:49
공무원은 박봉이다? [지데일리] http://gdaily.kr/14155 같은 직급이라도 능력에 따라 월급의 액수가 달라지는 ‘연봉제’ ‘성과제’의 시대다. 과연 직장인들은 능력만큼 월급을 받고 있는 걸까. 직장인의 소득은 한 푼 에누리 없이 그대로 드러나고, 세금 역시 꼬박꼬박 내고 있다. 그런데 월급명세서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 에 따르면, 일단 월급이 정해지는 과정부터 단순하지도 투명하지도 않다. 흔히 월급은 회사가 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오해다. 월급은 자신이 속한 업계 동향, 노조의 존재 여부, 그리고 경제 상황 등 자신이 주변을 둘러싼 여러 가지 환경이 뒤섞여 정해진다. 중요한 것은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월급쟁이에겐 회사가 함부로 못하지만 모르는 사람들에 대해선 ..
-
<날씨는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과학 2011. 1. 29. 09:46
우표에 담긴 날씨 [지데일리] http://gdaily.kr/14136 날씨와 기후는 우리 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먹고 입고 머무는 것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역사의 전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문명의 탄생과 쇠퇴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인류사의 숱한 전쟁과 혁명이 날씨와 기후로 인해 흐름이 달라지곤 했다. 화석 연료를 토대로 한 인류의 번영은 대기 오염과 산성비, 오존 구멍, 지구 온난화와 같이 전혀 예기치 않았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구름, 비와 눈, 바람, 폭풍, 태풍, 토네이도, 천둥 번개 등 우리가 보통 ‘날씨’라 부르는 기상 현상의 본질과 형성 과정에 대한 탐구는 인류의 역사만큼 오래 됐지만 날씨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충분하지 못한 게 현실이다. 기상 업무의 발달에 있어 획기적인 변혁을..
-
<꾸준함을 이길 그 어떤 재주도 없다>카테고리 없음 2011. 1. 28. 17:53
‘올바른 달리기’의 기술 [지데일리] http://gdaily.kr/14087 최근 트위터를 통해 이마트 피자 출시와 관련해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에게 기업형 슈퍼마켓(SSM) 비판을 문용식 나우콤 대표. 당시 그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이 설전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검색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는 이 설전을 통해 대한민국 건국 이후 60여 년 동안, 특히 IMF 이후 10년 동안 승자 독식의 정글자본주의 사회로 치달았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제는 함께 사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140자 행간에 녹인다. 문 대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인터넷 서비스 사업을 이끌어온 IT업계의 블랙박스 같은 인물로 통한다. 우리에겐 촛불집회 생중계를 한 아프리카TV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당시 아..